일상/임신.출산.육아

[워킹맘] 현실 육아 경험(feat.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smile-haha 2024. 5. 10. 00:36
반응형

저희 가족은 여러 이유로 양가 부모님의 도움 없이 맞벌이로 32개월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저와 같은 환경이신 분들은 아이를 어떻게 키울 수 있나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저희 부부는 아직까지는 어찌어찌 잘 버터 나가고 있습니다..

사실 그동안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으로 버텨서 평일 낮에 집에 어른이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만 앞으로도 어찌어찌 되지 않겠어요? 우리 함께 힘냅시다!


안녕하세요?

저는 21년 10월 출산 후 현재 32개월 차 아이를 키우고 있는 워킹맘입니다.

저의 육아 경험을 한번 공유해 봐도 좋겠다 싶어 이렇게 글을 적어봅니다.

 

썸네일 이미지

 

0. 우리 가족 상황

저희 부부는 주변에 도움을 주실 양가 어른도 없거니와

아이는 되도록 우리 손으로 키웠으면 해서

최대한 고용보험의 모성보호 제도를 이용해서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저는 그래서 출산휴가/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근무를 모두 경험해 보았는데요,

 

출산휴가과 육아휴직을 계획하면서

목표는 최대한 아이와 있을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었어요.

 

애착 형성 문제도 있지만 적어도 말을 좀 할 수 있을 때 

어린이집에 보내고 싶은 게 이유였어요.

 

그래서 출산휴가를 최대한 늦게 가려고 했고

예정일 2주 전부터 출산휴가를 다녀왔어요!

(물론 저는 활동하는데 문제가 전혀 없어서 그랬습니다.)

 

 

1. 출산휴가

📌21년 10월 ~ 22년 1월

저는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2주 다녀왔는데요~ 남편 회사에서 출산휴가를 2주 준다고 그러길래,

산후조리원 나와서 그 2주를 썼습니다. 

(저희는 산후도우미를 쓰지 않았는데요.

그 시기에 산후도우미가 아이를 업고 담배를 폈다느니, 아이를 흔들어 재꼈다나.ㅠㅠ 

안 좋은 사건들이 보도가 많이 돼서 불안하기도 했고,

집이 작아 누가 집에 계시는 게 불편할 것 같기도 했어요)

 

 

2. 22년 연차 (17)+  5년 근속 보상 연차 (5)

📌 22년 2월

1월에 출산휴가가 종료되니까 22년 연차가 초기화돼서

기본 연차에 근속 보상 연차 5일을 합하니 거의 한 달은 벌었어요 : )

출산휴가도 정상 근무로 인정돼서 다음 해 연차 쓸 수 있더라고요!

법적으로 쓸 수 있는 휴가는 다 쓰려고 했어요!

저도 회사에서 이걸 받아주려나 걱정했는데, 다행히도... 별말씀 없이 OK 하시더라고요..!

 

 

3. 본인 육아휴직(1년)

📌 22년 3월 ~ 23년 2월

저희 회사가 육아휴직 후 복귀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편이라

1년을 풀로 썼어요

 

 

4. 배우자 육아휴직(1년)

📌 23년 3월 ~ 24년 2월

고맙게도 남편이 육아휴직을 1년이나 결심해 줘서

아이가 저희 손에서 최대한 자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남편 회사는 소규모 회사여서 육아휴직자 자체가 최초였는데

남편이 잘 개시하고 복귀도 잘했습니다.

 

 

5.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1년)

📌 24년 3월 ~ 25년 2월(진행 중)

기존에 8시간 근무(9-18)를  6시간 근무(9-16)로 단축해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출퇴근시간이 1시간 20분 정도 걸려

-

6시 30분에 일어나 아침 먹고 출근/등원 준비

-

7시 30분 등원

-

9시 출근 16시 퇴근

-

17시 30분 하원

-

놀이터에서 30분 정도 놀고 들어와 저녁준비 후 식사

-

밥 먹고 씻기고 놀고 하면 20시 30분 육퇴

-

일정이 숨 가쁘긴 합니다만,

이 제도가 있어서 양가의 도움 없이도 아이를 키울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개선을 바라는 점

이 제도를 좀 더 오래 이용할 수 있으면 육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제도가 개선되었으면 좋겠어요..ㅠㅠ

 

최초 1년은 근로시간 단축 급여 지원 해주고

2년 차부터는 급여지원 없이 해당 제도 이용 시 회사에 혜택을 주는 형태로

제도가 개선되면 회사입장에서도 근로자 입장에서도 좋지 않을까요..?

 

아니 애초에 근무형태가 다양하게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ㅠㅠ

 

8시간 근무(급여 100%)

6시간 근무(급여 75%)

4시간 근무(급여 50%)

 

젭알..

 

 

이 제도 끝나면 이제 평일에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줄어들 것을 알기에

벌써 너무 아쉽습니다.ㅜㅜ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시 연차/반차/반반차 정보가 궁금하다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연차/반차/반반차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중 연차/반차/반반차는 몇 시간으로 계산될까요?단축 후 일 근로 시간의 100%/50%/25%입니다.6시간 근무시 연차는 6시간(종일), 반차는 3시간, 반반차는 1시간 반이 됩니다.안녕

smile-haha.tistory.com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신청 정보가 궁금하다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단축 급여 신청

📌단축 급여 신청 절차 요약고용24 접속 후 로그인출산휴가·육아 휴직> 육아휴직> 고용2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신청 메뉴 이동신청서 작성구비서류 등록(최초 신청할 때 1회만 등록)카카

smile-haha.tistory.com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정보가 궁금하다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계산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이용 생각 있으신가요?제가 검색해봤는데 계산기가 없어서 직접 만들어봤어요~ 한번 이용해보세요~안녕하세요~오늘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계산법을 공유해

smile-hah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