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프로젝트 관리 2

[git] 원격 저장소 생성하기

내가 생각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git)을 사용하는 이유는 협업을 위해서이다. (물론 혼자 개발을 하더라도 git으로 관리를 하면 수정 history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는 혼자 개발할 때는 git을 따로 쓰지 않았다.) git을 통한 협업을 위해서는 원격 저장소가 있어야 한다. 원격 저장소에서 소스를 받고(pull) 소스를 수정해서 올리고(push) 다른 팀원이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수정된 소스를 받아(pull) 이어 개발을 하기 위해서이다.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의 차이 원격 저장소는 bare repository이어야 하고, 로컬 저장소는 non-bare repository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non-bare repository에서 non-bare rep..

[git] 기초 (init/status/add/commit)

00. install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git을 설치해야한다. git 홈페이지(http://git-scm.com/download/win)에 들어가서 다운 받도록하자. 다운 받으면 exe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한다. - git을 설치하기 전에는 당연히 git 명령어가 먹히지 않는다. 01. git init $ git init 프로젝트 저장소를 만드는 명령어. 저장소를 만들 프로젝트 디렉토리(프로젝트의 root 폴더)로 가서 해당 명령어를 치면 프로젝트 저장소가 만들어짐. 정상적으로 저장소가 만들어지면 숨김 파일 .git 폴더가 생김. 🎃.git 프로젝트 버전관리를 위한 저장소 역할을 하는 폴더. 이정도만 알고 있자. 다음에 깊이 들어가 보자.. 🎃.gitIgnore 버전관리를 하지 않을 경로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