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번 포스팅에서 babel 셋팅하는 것을 설명한 적이 있다. 그 때는 webpack을 이용하지 않고 babel 만 이용해서 셋팅했는데, webpack으로 babel을 셋팅하면 프로젝트 파일이 묶여 나오면서 js를 변경(es6를 es5로 또는 리액트 jsx를 js로 변환 등)할 수있다.
일단 babel-loader와 사용할 프리셋들, babel-core를 설치해야 한다.
$npm install -D babel-loader @babel/core @babel/preset-env @babel/preset-react
/*webpack.config.j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var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module.exports = {
...
module: {
rules:[/**다양한 loader 추가 가능 */
{
test: /\.js$/,/**어떤 파일명을 갖는지 정의(정규표현식을 이용) */
exclude: /(node_modules)/,/**패키징에서 제외할 폴더 */
use: {
loader: "babel-loader",
options: {
presets: ["@babel/preset-env", "@babel/preset-react"],
},
},
}
]
},
...
};
웹팩의 기본 설정은 다음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npm] webpack 셋팅
webpack은 여러 파일(js,css,html 등)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모듈이다. webpack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터미널에서 webpack을 이용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해서, npm이나 yarn 을이용해 webpack 모듈을
smile-haha.tistory.com
바벨 프리셋 정보는 이전에 포스팅한 아래 글을 참조해 주세요.
[npm] 트랜스컴파일러 babel 셋팅
Babel은 ECMAScript 2015+/TypeScript/Ract의 JSX/Flow 코드를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JavaScript 버전으로 변환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도구다. 1. npm을 이용해 바벨 패키지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save-dev @babel/core
smile-haha.tistory.com
반응형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hook - 상태관리(useState,useReducer,useContext) (0) | 2023.01.26 |
---|---|
[javacript] ES6 Map/Set (0) | 2023.01.04 |
[javascript] ES6 배열 함수 (2) | 2023.01.02 |
[javascript] 원시타입과 객체 Boolean으로 변환 (0) | 2023.01.01 |
ECMAScript 2015(ES6) (0) | 2022.12.30 |